Emotion Radar
Emotion Radar

감정을 돌보는 AI 서비스를
직접 개발하다

감정을 돌보는 AI 서비스를
직접 개발하다

감정을 돌보는
AI 서비스를
직접 개발하다

감정을 기록하면 AI가 조언을 해주고, 비슷한 감정을 가진 사람들과 공감하며,
필요할 때 전문가 상담으로 연결될 수 있는 서비스를 직접 개발하고 배포했습니다.

감정을 기록하면 AI가 조언을 해주고, 비슷한 감정을 가진 사람들과 공감하며, 필요할 때 전문가 상담으로 연결될 수 있는 서비스를 직접 개발했습니다.

감정을 기록하면 AI가 조언을 해주고, 비슷한 감정을 가진 사람들과 공감하며, 필요할 때 전문가 상담으로 연결될 수 있는 서비스를 직접 개발했습니다.

역할

  • 사용자 플로우 설계 및 UX/UI 디자인

  • Gemini, Hugging Face 등 AI 모델 실험과 프롬프트 설계를 통한 최적화

  • 생성형 AI를 적극 활용하여 개발 전 과정에 적용

  • Python(FastAPI)으로 감정 분석·조언 생성 API와 백엔드 구축, Render를 통한 서버 배포

  • Firebase를 활용해 DB, 인증, 커뮤니티 구조 설계 및 구현

  • React로 프론트엔드 UI 개발 및 백엔드·DB 연동

  • GA 기반 사용자 행동 데이터 수집 및 퍼널 분석을 통한 UX 개선 도출

  • 전체 서비스 운영 환경 구축 및 배포

개인

프로젝트 기간

2025.04-

개인

프로젝트 기간

2025.05-

역할

  • 사용자 플로우 설계 및 UX/UI 디자인

  • Gemini, Hugging Face 등 AI 모델 실험과 프롬프트 설계를 통한 최적화

  • 생성형 AI를 적극 활용하여 개발 전 과정에 적용

  • Python(FastAPI)으로 감정 분석·조언 생성 API와 백엔드 구축, Render를 통한 서버 배포

  • Firebase를 활용해 DB, 인증, 커뮤니티 구조 설계 및 구현

  • React로 프론트엔드 UI 개발 및 백엔드·DB 연동

  • GA 기반 사용자 행동 데이터 수집 및 퍼널 분석을 통한 UX 개선 도출

  • 전체 서비스 운영 환경 구축 및 배포

개인

프로젝트 기간

2025.04-

개인

프로젝트 기간

2025.05-

배경

배경

AI가 가장 많이 쓰이는 곳,

마음을 돌보는 일

AI가 가장 많이 쓰이는 곳,

마음을 돌보는 일

AI가 가장 많이 쓰이는 곳,

마음을 돌보는 일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을 기점으로
사람들은 AI를 단순한 기술적 도구가 아니라 치유, 삶의 정리, 목적 찾기 같은
감정적이고 개인적인 영역에 더 많이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는 AI가 인간 심리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더 중요해질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제가 오래전부터 관심을 가져온 디자인 윤리에 대해서도
더 깊이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저 역시 최근에 낯선 외국 환경에서 혼자 지내는 시간을 보내면서,
감정을 기록하고 서로 공감하는 것만으로도 큰 위로와 힘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더 확실히 깨닫게 되었습니다.


저는 프로덕트 디자이너로서 누군가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서비스를
직접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늘 가지고 있었기에,
자신의 감정을 더 편하게 들여다보고 서로 공감하며
필요할 땐 전문적인 도움까지 연결될 수 있는 AI 기반 서비스를 구상하고,
직접 개발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하버드 비즈니스 리뷰의 데이터에 따르면, 2025년을 기점으로 사람들은 AI를 단순한 기술적 도구가 아니라 치유, 삶의 정리, 목적 찾기 같은 감정적이고 개인적인 영역에 더 많이 활용하고 있었습니다.

그래서 앞으로는 AI가 인간 심리에 미치는 영향이 훨씬 더 중요해질 것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제가 오래전부터 관심을 가져온 디자인 윤리에 대해서도 더 깊이 고민하게 되었습니다.


저 역시 최근에 낯선 외국 환경에서 혼자 지내는 시간을 보내면서, 감정을 기록하고 서로 공감하는 것만으로도 큰 위로와 힘이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더 확실히 깨닫게 되었습니다.


저는 프로덕트 디자이너로서 누군가에게 좋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서비스를 직접 만들어보고 싶다는 생각을 늘 가지고 있었기에, 자신의 감정을 더 편하게 들여다보고 서로 공감하며 필요할 땐 전문적인 도움까지 연결될 수 있는 AI 기반 서비스를 구상하고, 직접 개발을 시작하게 되었습니다.

문제

문제

마음을 돌볼 여유도 없고,
서로는 점점 더 멀어지는 시대.

마음을 돌볼 여유도 없고,
서로는 점점 더 멀어지는 시대.

마음을 돌볼 여유도 없고,
서로는 점점 더 멀어지는 시대.

데이터 출처 : WHO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이상이 삶에서 정신건강 문제를 겪습니다.

전 세계 인구의 약 8명 중 1명이 정신건강 문제를 경험하며, 전 생애로 보면 절반 가까운 인구가 한 번쯤 겪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성인 6명 중 1명이 비슷한 감정을 나눌 사람이 없어 외로움을 느낍니다.

전 세계 성인의 약 16%, 즉 6명 중 1명이 외로움을 경험하고 있으며, 최근 Gallup 조사에서는 미국 성인의 약 20%가 전날 하루 동안 심각한 외로움을 느꼈다고 응답했습니다.

85%가 도움이 필요해도 치료받지 못하고 있습니다.

정신건강 문제가 있어도 85%는 필요한 치료를 받지 못하고 있으며, 단 6.9%만 실제 효과적인 치료를 받고 있습니다. 특히 중저소득 국가는 치료의 접근성이 더 낮습니다.

목표

목표

감정을 기록하고,
AI의 따뜻한 조언을 받고,
사람들과 공감하며,
필요할 땐 전문가에게.

감정을 기록하고,
AI의 따뜻한 조언을 받고,
사람들과 공감하며,
필요할 땐 전문가에게.

사람들​이 심리적으로 더 깊은 도움을 받기까지의 장벽을 낮추고자 했습니다.

가볍게 감정을 기록하고 AI에게 작은 위로를 받는 것에서 시작해,

비슷한 감정을 가진 사람들과 공감하고,

필요할 땐 전문적인 상담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게 했습니다.

사람들​이 심리적으로 더 깊은 도움을 받기까지의 장벽을 낮추고자 했습니다.

가볍게 감정을 기록하고 AI에게 작은 위로를 받는 것에서 시작해, 비슷한 감정을 가진 사람들과 공감하고,

필요할 땐 전문적인 상담으로 자연스럽게 이어질 수 있게 했습니다.

woman in black long sleeve shirt holding black ceramic mug
woman in black long sleeve shirt holding black ceramic mug
woman in black long sleeve shirt holding black ceramic mug
Tab 1
Tab 1

Journal

Journal

어릴 적 일기장에 선생님이 코멘트를 달아주듯, 오늘의 운세를 보듯,

매일의 감정을 가볍게 들여다보고 작은 위로를 받을 수 있습니다.

어릴 적 일기장에 선생님이 코멘트를 달아주듯, 오늘의 운세를 보듯, 매일의 감정을 가볍게 들여다보고 작은 위로를 받을 수 있습니다.

User Flow

감정 선택

막연히 오늘 어땠는지 묻기보단, 직관적인 이모지와 색으로 감정을 고르게 했습니다. 스스로 감정을 인식하며 그 순간부터 작은 치유를 느낄 수 있도록 했습니다.

감정 선택

막연히 오늘 어땠는지 묻기보단, 직관적인 이모지와 색으로 감정을 고르게 했습니다. 스스로 감정을 인식하며 그 순간부터 작은 치유를 느낄 수 있도록 했습니다.

감정 선택

막연히 오늘 어땠는지 묻기보단, 직관적인 이모지와 색으로 감정을 고르게 했습니다. 스스로 감정을 인식하며 그 순간부터 작은 치유를 느낄 수 있도록 했습니다.

간단한 일기 작성

감정을 한 줄이라도 적어보면 마음이 훨씬 더 구체화됩니다. 일기를 쓰면 AI가 더 맞춤형 조언을 주어, 단순히 감정을 고를 때보다 한층 깊은 위로를 느낄 수 있게 했습니다.

간단한 일기 작성

감정을 한 줄이라도 적어보면 마음이 훨씬 더 구체화됩니다. 일기를 쓰면 AI가 더 맞춤형 조언을 주어, 단순히 감정을 고를 때보다 한층 깊은 위로를 느낄 수 있게 했습니다.

간단한 일기 작성

감정을 한 줄이라도 적어보면 마음이 훨씬 더 구체화됩니다. 일기를 쓰면 AI가 더 맞춤형 조언을 주어, 단순히 감정을 고를 때보다 한층 깊은 위로를 느낄 수 있게 했습니다.

AI 조언

챗봇처럼 길게 대화할 필요 없이, 짧은 조언과 감정에 맞는 영상·인용문을 받아 가볍게 위로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운세처럼, 부담없는 작은 루틴이 될 수 있게 했습니다.

AI 조언

챗봇처럼 길게 대화할 필요 없이, 짧은 조언과 감정에 맞는 영상·인용문을 받아 가볍게 위로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운세처럼, 부담없는 작은 루틴이 될 수 있게 했습니다.

AI 조언

챗봇처럼 길게 대화할 필요 없이, 짧은 조언과 감정에 맞는 영상·인용문을 받아 가볍게 위로받을 수 있습니다. 오늘의 운세처럼, 부담없는 작은 루틴이 될 수 있게 했습니다.

Service Flow

사용자가 감정과 일기를 입력하면, 프론트에서 조건 분기 후 DB에서 기존 조언을 조회하거나
Gemini API로 조언을 생성해, 해당 결과를 조언 페이지에 렌더링하는 구조입니다.

Prompt Experiment

심리상담 분야의 대표적 기법인 공감 기반 상담을 참고한 프롬프트로 생성된 조언에 대해,

ChatGPT와 Gemini를 활용해 공감도를 평가했습니다.

실제 상담 효과와 유사한 정서적 반응을 유도하기 위해 심리치료 이론을 토대로 평가했으며,

그 결과 공감적 수용형 프롬프트가 가장 높은 점수를 받아 실제 서비스에 반영하였습니다.

정서적 따뜻함 (Affective Warmth)

말투와 태도가 부드럽고 따뜻하게 느껴졌는가?

감정에 대한 이해 (Empathic Understanding)

내 감정에 대해 이해받는 느낌이 들었는가?

정서적 지지감 (Emotional Supportiveness)

조언을 통해 위로받거나 힘이 난다고 느꼈는가?

점수

평가 기준

5

말투가 매우 따뜻하고 친절하며, 감정에 깊이 공감하며 구체적인 언어로 지지한다. 위로가 직접적이고 감정을 잘 짚어주며, 사용자가 “정말 내 마음을 이해받았다”고 느낄 수 있다.

4

말투는 따뜻하나 약간은 일반적이며, 감정 이해는 명확하지만 위로의 강도는 중간 정도이다. 사용자는 “괜찮았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3

감정에 대한 언급은 있으나 피상적이다. 지지는 있으나 진심이 느껴지지 않거나 너무 포괄적이다. 사용자는 “공감받았는지는 잘 모르겠다”는 느낌을 받을 수 있다.

2

따뜻함이 부족하고 감정 포인트를 짚지 못했다. 단순한 조언처럼 느껴지며, 감정적 연결이 어렵다.

1

감정 언급이 전혀 없거나, 오히려 판단적으로 보일 수 있다. 공감 없이 해결 중심으로만 접근하며, 상담으로서 효과가 매우 낮다.

불안
외로움
슬픔
두려움
걱정

프롬프트 유형

작성된 일기

AI 생성 조언

공감도

공감적 수용형

You are a therapist who deeply listens and accepts the feeling of {emotion} without judgment. Offer warm support.

“아무 일도 안 했는데 자꾸 가슴이 답답하고 불안해요.”

“그 불안한 마음, 이유 없이 찾아오는 것 같아 더 무섭죠. 아무 일 없어 보여도 당신 마음은 지금 많이 예민해져 있었던 거예요. 그런 당신을 탓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9.8

감정 명명 + 확인형

You are a therapist who helps name the emotion clearly and makes the person feel seen. Respond with gentle care.

“작은 일에도 계속 불안해서 나 자신이 싫어져요.”

“그건 분명히 ‘불안’이라는 감정이에요. 불안은 결코 약한 게 아니에요. 오히려 당신이 얼마나 민감하게 세상을 느끼는 사람인지 보여주는 거예요. 그 마음, 충분히 이해돼요.”

9.5

점진적 격려 + 현실 검증형

You are a therapist who reassures and encourages small steps. Provide comfort for {emotion}.

“앞으로 일이 많을 것 같아서 벌써부터 긴장이 돼요.”

“미리 걱정하게 되는 건 그만큼 책임감이 있다는 뜻이에요. 하지만 아직 오지 않은 일에 너무 마음을 소모하지 않아도 괜찮아요. 오늘 할 수 있는 일 하나만 집중해보면 어때요?”

9.3

재구조화 + 작은 행동 제안형

You are a therapist who uses cognitive reframing. Help see {emotion} in a new light and suggest a gentle action.

“모든 게 불안해서 아무것도 못 하겠어요.”

“그 불안은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대한 자연스러운 반응일 수 있어요. 그럴 땐 아주 작은 선택이라도 내가 직접 해보는 게 도움이 될 수 있어요. 지금 당장 물 한 잔 마시고, 창밖을 한번 바라볼까요?”

9.4

불안
외로움
슬픔
두려움
걱정
불안
외로움
슬픔
두려움
걱정
Output
Output

AI 공감도 테스트를 통해 최적의 프롬프트 적용

공감적 수용형 유형의 프롬프트는 심리상담 분야에서 활용되는 평가 척도인 정서적 따뜻함, 감정 이해, 정서적 지지감에서 제일 높은 점수를 받아 해당 프롬프트를 구체화하여 실제 서비스에 적용하였습니다.

이후 베타 테스트 시 사용자로부터도 “섬세하고 따뜻한 위로였다”, “진심 어린 공감이 느껴졌다”는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조언은 JSON 포맷으로 UI 깨짐 없이 안정적으로 보일 수 있게 했습니다.

공감적 수용형 유형의 프롬프트는 심리상담 분야에서 활용되는 평가 척도인 정서적 따뜻함, 감정 이해, 정서적 지지감에서 제일 높은 점수를 받아 해당 프롬프트를 구체화하여 실제 서비스에 적용하였습니다.

이후 베타 테스트 시 사용자로부터도 “섬세하고 따뜻한 위로였다”, “진심 어린 공감이 느껴졌다”는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조언은 JSON 포맷으로 UI 깨짐 없이 안정적으로 보일 수 있게 했습니다.

공감적 수용형 유형의 프롬프트는 심리상담 분야에서 활용되는 평가 척도인 정서적 따뜻함, 감정 이해, 정서적 지지감에서 제일 높은 점수를 받아 해당 프롬프트를 구체화하여 실제 서비스에 적용하였습니다.

이후 베타 테스트 시 사용자로부터도 “섬세하고 따뜻한 위로였다”, “진심 어린 공감이 느껴졌다”는 피드백을 받을 수 있었습니다.

또한, 조언은 JSON 포맷으로 UI 깨짐 없이 안정적으로 보일 수 있게 했습니다.

Product Design

초기 테스트에서 감정 선택과 일기 작성 영역을 직관적으로 인지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었는데,

감정 선택 방식, 입력 필드의 구분, 유도 문구 추가 등의 개선을 통해

약 83명의 초기 사용자 중 58%가 감정 선택부터 조언 확인까지의 전체 플로우를 완료했습니다.

Type A
Type A

감정을 시각적으로 강조하기 위해,
이모지를 중앙에 크게 배치

사용자가 감정을 탐색하고 고르는 과정을 분리하여 강조

사용자가 선택한 감정을 gif 이미지로 크게 표시하여 몰입할 수 있게 함

  • "이모지를 눌러 감정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하기 어려웠어요."

  • "이모지를 눌러 감정을 선택할 수 있다는 것을 파악하기 어려웠어요."

  • "텍스트 입력 영역이 모호하여 어디에 글을 써야 하는지 헷갈렸어요."

  • "텍스트 입력 영역이 모호하여 어디에 글을 써야 하는지 헷갈렸어요."

Type B
Type B

- 감정을 한눈에 볼 수 있는 카드형 UI로 변경

- 입력 영역을 명확히 분리하여 직관성 강화

  • "감정을 카드 형태로 스와이프하여 선택하는 방식이 더 직관적인 것 같아요."

  • "감정이 선택되었는지 선택 상태가 명확히 드러나 좋은 것 같아요."

  • "감정을 카드 형태로 스와이프하여 선택하는 방식이 더 직관적인 것 같아요."

  • "감정이 선택되었는지 선택 상태가 명확히 드러나 좋은 것 같아요."

  • "일기 입력 필드가 더 명확하게 보여서 어디에 작성하는지 헷갈리지 않아요."

  • "상단의 안내 문구로 전체 흐름이 잘 이해가 되는 것 같아요."

  • "일기 입력 필드가 더 명확하게 보여서 어디에 작성하는지 헷갈리지 않아요."

  • "상단의 안내 문구로 전체 흐름이 잘 이해가 되는 것 같아요."

조언 페이지
조언 페이지

AI 조언에 그치지 않고, 감정을 더 잘 이해하고 돌볼 수 있도록 사람들의 실제 경험과 지혜가 담긴 콘텐츠를 함께 전달하고자 했습니다.

AI 조언에 그치지 않고, 감정을 더 잘 이해하고 돌볼 수 있도록 사람들의 실제 경험과 지혜가 담긴 콘텐츠를 함께 전달하고자 했습니다.

Output
Output

베타 테스트 기반 데이터 분석 결과

직접 이벤트를 심고 GA를 통해 감정 선택부터 AI 조언 확인까지의 사용자 행동을 추적했습니다.

모수가 엄청 많지는 않았지만, 유의미한 전환과 개선 포인트를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감정 선택 전환율 72%

총 83명 중 60명(72%)이 감정을 선택하며 초기 행동에 참여했습니다. 튜토리얼 없이도 흐름을 이해하고 참여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감정 선택 전환율 72%

총 83명 중 60명(72%)이 감정을 선택하며 초기 행동에 참여했습니다. 튜토리얼 없이도 흐름을 이해하고 참여한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습니다.

왜 28%는 감정 선택하지 않고 이탈했을까?

사용자는 서비스의 목적이나 기대 결과를 충분히 인지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감정 선택 전 안내 문구 표시 - 선택하면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를 한눈에 보여주는 가이드 추가

왜 28%는 감정 선택하지 않고 이탈했을까?

사용자는 서비스의 목적이나 기대 결과를 충분히 인지하지 못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 감정 선택 전 안내 문구 표시 - 선택하면 어떤 결과가 나오는지를 한눈에 보여주는 가이드 추가

감정 선택 후 일기 작성 전환율 83%

감정을 선택한 60명 중 50명이 바로 일기를 작성했습니다. 단순 선택이 실제 입력 행동으로 이어지는 전환 흐름이 확인되었습니다.

감정 선택 후 일기 작성 전환율 83%

감정을 선택한 60명 중 50명이 바로 일기를 작성했습니다. 단순 선택이 실제 입력 행동으로 이어지는 전환 흐름이 확인되었습니다.

왜 17%는 일기를 쓰지 않았을까?

글쓰기의 심리적 진입장벽 또는 무엇을 써야 할지 몰라 망설인 사용자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감정에 맞는 placeholder 문장 제공 - 글쓰기를 유도하는 질문형 프롬프트 삽입 (예: 왜 이런 기분이 들었나요?)

왜 17%는 일기를 쓰지 않았을까?

글쓰기의 심리적 진입장벽 또는 무엇을 써야 할지 몰라 망설인 사용자들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감정에 맞는 placeholder 문장 제공 - 글쓰기를 유도하는 질문형 프롬프트 삽입 (예: 왜 이런 기분이 들었나요?)

조언 보기 클릭률 96%

일기를 작성한 50명 중 48명이 ‘조언 보기’ 버튼을 눌러 AI 조언을 확인했습니다. 일기 작성 후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흐름과 명확한 CTA 버튼 배치가 사용자의 다음 행동으로 효과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조언 보기 클릭률 96%

일기를 작성한 50명 중 48명이 ‘조언 보기’ 버튼을 눌러 AI 조언을 확인했습니다. 일기 작성 후 자연스럽게 이어지는 흐름과 명확한 CTA 버튼 배치가 사용자의 다음 행동으로 효과적으로 연결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왜 4%는 조언을 보지 않았을까?

버튼 위치를 인지하지 못했거나, 기대 효과를 확신하지 못했을 수 있습니다. - 조언 버튼의 색상 강조, 진동 효과 등 시각적 주목도 강화 - 감정 선택 또는 일기 작성 단계에서 “AI가 감정에 맞는 위로와 조언을 제공합니다”라는 안내 문구 삽입

왜 4%는 조언을 보지 않았을까?

버튼 위치를 인지하지 못했거나, 기대 효과를 확신하지 못했을 수 있습니다. - 조언 버튼의 색상 강조, 진동 효과 등 시각적 주목도 강화 - 감정 선택 또는 일기 작성 단계에서 “AI가 감정에 맞는 위로와 조언을 제공합니다”라는 안내 문구 삽입

Tab 2
Tab 2

Emotions

Emotions

행복, 슬픔, 불안 등의 감정을 중심으로 연결되는 커뮤니티로,

같은 마음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의 이야기에 공감할 수 있습니다.

행복, 슬픔, 불안 등의 감정을 중심으로 연결되는 커뮤니티로, 같은 마음을 가진 사람들이 서로의 이야기에 공감할 수 있습니다.

User Flow

감정 선택

이모지와 색으로 오늘의 감정을 고르고, 같은 마음을 가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볼 수 있습니다.

감정 선택

이모지와 색으로 오늘의 감정을 고르고, 같은 마음을 가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볼 수 있습니다.

감정 선택

이모지와 색으로 오늘의 감정을 고르고, 같은 마음을 가진 사람들의 이야기를 볼 수 있습니다.

글 탐색

같은 감정을 가진 사람들이 남긴 이야기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글 탐색

같은 감정을 가진 사람들이 남긴 이야기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글 탐색

같은 감정을 가진 사람들이 남긴 이야기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글쓰기

내 이야기를 부담 없이 남기고, 감정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글쓰기

내 이야기를 부담 없이 남기고, 감정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글쓰기

내 이야기를 부담 없이 남기고, 감정을 공유할 수 있습니다.

공감 & 댓글

좋아요와 댓글로 서로 공감하고 위로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공감 & 댓글

좋아요와 댓글로 서로 공감하고 위로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공감 & 댓글

좋아요와 댓글로 서로 공감하고 위로를 주고받을 수 있습니다.

Service Flow

글 목록 조회, 글 및 댓글 작성, 좋아요, 수정·삭제, 신고 기능이 포함된 

커뮤니티 기능 전반을 Firebase Firestore와 FastAPI를 연동하여 구현하였습니다.

글 목록 조회, 글 및 댓글 작성, 좋아요, 수정·삭제, 신고 기능이 포함된 커뮤니티 기능 전반을 Firebase Firestore와 FastAPI를 연동하여 구현하였습니다.

Output
Output

베타 테스트 기반 데이터 분석 결과

감정 별 커뮤니티 전반에 대한 사용자 행동을 추적하고, 개선점을 도출했습니다.

글 작성 전환율 약 28%

글쓰기를 위해 로그인해야 하는 진입 장벽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글 작성 전환율 약 28%

글쓰기를 위해 로그인해야 하는 진입 장벽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글 작성 전환율 약 28%

글쓰기를 위해 로그인해야 하는 진입 장벽이 주요 원인으로 추정됩니다.

글 작성을 유도하려면?

- 조언을 본 뒤, 비슷한 감정을 가진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커뮤니티 글쓰기로 유도 - 글 작성 시 로그인을 방해 요소가 아닌 연결의 시작처럼 설계

글 작성을 유도하려면?

- 조언을 본 뒤, 비슷한 감정을 가진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커뮤니티 글쓰기로 유도 - 글 작성 시 로그인을 방해 요소가 아닌 연결의 시작처럼 설계

글 작성을 유도하려면?

- 조언을 본 뒤, 비슷한 감정을 가진 사람들과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커뮤니티 글쓰기로 유도 - 글 작성 시 로그인을 방해 요소가 아닌 연결의 시작처럼 설계

슬픔·외로움 커뮤니티 방문이 전체의 약 65% 차지

감정 커뮤니티 방문 중 ‘슬픔’, ‘외로움’ 페이지 진입이 전체의 약 65%를 차지했습니다. 공감, 위로에 대한 사용자 니즈가 특히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됩니다.

슬픔·외로움 커뮤니티 방문이 전체의 약 65% 차지

감정 커뮤니티 방문 중 ‘슬픔’, ‘외로움’ 페이지 진입이 전체의 약 65%를 차지했습니다. 공감, 위로에 대한 사용자 니즈가 특히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됩니다.

슬픔·외로움 커뮤니티 방문이 전체의 약 65% 차지

감정 커뮤니티 방문 중 ‘슬픔’, ‘외로움’ 페이지 진입이 전체의 약 65%를 차지했습니다. 공감, 위로에 대한 사용자 니즈가 특히 높게 나타난 것으로 해석됩니다.

슬픔, 외로움 같은 감정 중심의 컨텐츠 강화

방문이 집중된 감정(슬픔·외로움)을 중심으로 관련 조언 콘텐츠를 확장하고, 글쓰기 흐름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슬픔, 외로움 같은 감정 중심의 컨텐츠 강화

방문이 집중된 감정(슬픔·외로움)을 중심으로 관련 조언 콘텐츠를 확장하고, 글쓰기 흐름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슬픔, 외로움 같은 감정 중심의 컨텐츠 강화

방문이 집중된 감정(슬픔·외로움)을 중심으로 관련 조언 콘텐츠를 확장하고, 글쓰기 흐름을 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개선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Tab 3
Tab 3

Care

Care

더 깊은 마음의 돌봄이 필요할 때, 전문가와 심리상담을 예약할 수 있습니다.

해당 기능은 개발 진행 중입니다.

User Flow

상담사 조회

불안, 우울, 관계 등 다양한 분야에 특화된 심리상담사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담사 조회

불안, 우울, 관계 등 다양한 분야에 특화된 심리상담사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담사 조회

불안, 우울, 관계 등 다양한 분야에 특화된 심리상담사 목록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담사 정보 확인

심리상담사 소개, 경력, 분야, 언어 등의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담사 정보 확인

심리상담사 소개, 경력, 분야, 언어 등의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담사 정보 확인

심리상담사 소개, 경력, 분야, 언어 등의 상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상담 예약

가능한 시간을 선택하여 심리상담을 예약할 수 있습니다.

상담 예약

가능한 시간을 선택하여 심리상담을 예약할 수 있습니다.

상담 예약

가능한 시간을 선택하여 심리상담을 예약할 수 있습니다.

심리상담

예약된 시간에 화상 또는 전화 등 선택한 방식으로 심리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심리상담

예약된 시간에 화상 또는 전화 등 선택한 방식으로 심리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심리상담

예약된 시간에 화상 또는 전화 등 선택한 방식으로 심리상담을 받을 수 있습니다.

Service Flow

상담 예약 → 시간 선택 → 결제 → 예약 확정 → 안내 메일 발송까지의 전 과정을

React 프론트엔드, FastAPI 백엔드, Stripe 결제 시스템을 연동하여 설계 및 구현 중입니다.

Output
Output

배운 점

배운 점

AI, 개발, 데이터 모두를 다루며
제품 구조 전반을 폭넓게 이해

AI, 개발, 데이터 모두를 다루며 제품 구조 전반을 폭넓게 이해

직접 구현하며 서비스 구조 전반에 대한 이해도 향상

AI 조언 생성을 위한 프롬프트 실험부터 프론트, 백엔드, DB까지 직접 구현해보며 데이터가 어떻게 흐르고, 어떤 구조로 연결되는지를 더 깊이 이해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처음부터 끝까지 분석하며 얻은 사용자 관점의 확장

GA 이벤트 설계 → 퍼널 구성 → 사용자 행동 분석까지 전 과정을 직접 실행했습니다. 어떤 지점을 추적할지 고민하고, 그 결과 실제 사용자의 흐름을 구체적으로 해석하며 다음 실험 아이디어까지 도출할 수 있었습니다.

더 나은 협업을 위한 시작

디자인을 코드로 구현하며 개발자의 언어를 더 이해하게 되었고, 불필요한 커뮤니케이션보다 본질에 집중할 수 있는 협업의 가능성을 느꼈습니다.

AI 시대에 더 효율적이고 의미있는 협업이 무엇일지 지속적으로 실험하고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디자인을 코드로 구현하며 개발자의 언어를 더 이해하게 되었고, 불필요한 커뮤니케이션보다 본질에 집중할 수 있는 협업의 가능성을 느꼈습니다.

AI 시대에 더 효율적이고 의미있는 협업이 무엇일지 지속적으로 실험하고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겠다고 생각했습니다.

디자인을 코드로 구현하며 개발자의 언어를 더 이해하게 되었고, 불필요한 커뮤니케이션보다 본질에 집중할 수 있는 협업의 가능성을 느꼈습니다.

AI 시대에 더 효율적이고 의미있는 협업이 무엇일지 지속적으로 실험하고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겠다고 생각했습니다.

여기까지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제가 만드는 서비스를 통해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을 주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습니다.

©️2025 Sohyung Park

여기까지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제가 만드는 서비스를 통해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을 주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습니다.

©️2025 Sohyung Park

여기까지 와주셔서 감사합니다.✨

저는 제가 만드는 서비스를 통해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을 주고, 더 나은 세상을 만드는 데 기여하고 싶습니다.

©️2025 Sohyung Park